교황 보니파시오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보니파시오 1세는 5세기 초 로마 가톨릭교회의 수장으로, 초기 생애는 로마에서 사제로 활동했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교황 인노첸시오 1세의 대표로 활동했다. 교황 선출 과정에서 율랄리우스와 대립하여 황제의 중재를 받았으며, 결국 정당한 교황으로 인정받았다. 그는 재임 기간 동안 교회 행정을 개혁하고, 펠라기우스주의에 맞서 아우구스티누스를 지지했으며, 황제를 설득하여 일리리쿰을 서방 관할권으로 반환시키는 등 성좌의 권리를 옹호했다. 보니파시오 1세는 422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22년 사망 - 법현
법현은 중국 십육국 시대 후조의 승려로, 불교 경전의 오류와 누락을 안타깝게 여겨 인도로 구법 여행을 떠나 불교 서적을 구하고 귀국 후 불경 번역에 매진하며 중국 불교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인도 여행기는 《불국기》라는 제목으로 남아 당시 중앙아시아와 인도에 관한 귀중한 사료가 되고 있다. - 422년 사망 - 유송 무제
유송 무제 유유는 동진 말기 하급 군인 출신으로 군사적 능력을 발휘하여 유송을 건국하고 개혁을 추진했으나, 찬탈과 황제 살해로 부정적인 평가도 받는 인물이다. - 5세기 교황 - 교황 레오 1세
레오 1세는 440년부터 461년까지 재위한 교황으로, 훈족과 반달족의 침공을 막고 칼케돈 공의회에서 교황의 권위를 확립하며 교황 무류성의 사례를 제시하여 로마의 수호자이자 교황 수위권을 강화한 인물이다. - 5세기 교황 - 교황 젤라시오 1세
교황 젤라시오 1세는 교황 수위권을 강조하고 '두 권력' 사상을 제시하며 교황권 강화와 교회 재산 관리 체계 확립에 힘쓴 5세기 로마 교황이다. - 5세기 대주교 - 교황 레오 1세
레오 1세는 440년부터 461년까지 재위한 교황으로, 훈족과 반달족의 침공을 막고 칼케돈 공의회에서 교황의 권위를 확립하며 교황 무류성의 사례를 제시하여 로마의 수호자이자 교황 수위권을 강화한 인물이다. - 5세기 대주교 -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는 412년부터 444년까지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를 지낸 기독교 신학자이자 교부로, 네스토리우스와의 논쟁에서 테오토코스 칭호를 옹호하며 에페소스 공의회를 주도했으나 이교도와 유대인 탄압, 히파티아 피살 사건 연루 의혹 등 논란이 있었다.
교황 보니파시오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보니파시오 1세 |
직함 | 로마의 주교 |
교회 | 가톨릭 교회 |
![]() | |
재임 시작 | 418년 12월 29일 |
재임 종료 | 422년 9월 4일 |
이전 교황 | 조시모 |
다음 교황 | 첼레스티노 1세 |
출생지 | 로마 |
사망일 | 422년 9월 4일 |
사망 장소 | 로마, 서로마 제국 |
기타 | 보니파시오 |
축일 | 10월 25일 |
로마자 표기 | |
라틴어 | Bonifatius I |
2. 초기 생애
보니파시오 1세의 선출 이전 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교황 연대기에 따르면 그는 로마 출신이며 사제 조쿤두스의 아들이었다. 그는 교황 다마수스 1세(366–384)에 의해 서품을 받았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교황 인노첸시오 1세의 대표로 활동한 것으로 추정된다(c. 405).[1]
교황 조시무스가 선종한 418년 12월, 교황 선출 과정에서 율랄리우스와 보니파시오 두 후보가 동시에 선출되어 혼란이 발생했다. 율랄리우스는 라테란을 점거하고 주교로 선출되었고, 보니파시오는 성 마르첼루스 성당에서 서품을 받았다.[2]
3. 교황 선출 과정의 갈등
로마 시의 장관 아우렐리우스 아니키우스 심마쿠스는 황제 호노리우스에게 율랄리우스를 지지하는 편지를 보냈고, 황제는 율랄리우스를 정당한 교황으로 인정했다. 그러나 보니파시오 지지자들은 황제에게 탄원서를 보내 율랄리우스 선출에 부정행위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황제는 양측을 소환하여 재판을 열기로 했으나, 율랄리우스가 황제의 명령을 어기고 로마에 입성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3] 결국 심마쿠스의 경찰이 율랄리우스를 체포하고, 419년 4월 3일, 황제는 보니파시오를 정당한 교황으로 선포했다.[4]
3. 1. 율랄리우스와의 대립
교황 조시무스의 장례가 산 로렌초 푸오리 레 무라에서 거행된 날, 율랄리우스 지지자들이 라테란을 점거했다. 그날 늦게 율랄리우스가 부제, 평신도, 몇몇 사제로 구성된 군중과 함께 도착하여 주교로 선출되었다. 새 교황과 그의 지지자들은 관례적으로 일요일에 정식 서품이 거행되었기 때문에 12월 29일까지 교회에 머물렀다.[2]
한편, 장례식과 율랄리우스의 선출 이후 토요일에 교회의 사제 대다수는 이전에 교황 인노첸시오 1세의 고문이었던 보니파시오를 선출했다. 그는 또한 12월 29일 캄푸스 마르티우스의 성 마르첼루스 성당에서 서품을 받았다.[2]
로마 시의 장관 아우렐리우스 아니키우스 심마쿠스는 양측에 평화를 유지하라고 경고하고, 먼저 적절한 절차에 따라 선출된 율랄리우스가 옳다고 황제 호노리우스에게 편지를 썼다. 황제는 419년 1월 3일에 답변하여 율랄리우스를 로마의 정당한 주교로 인정했다. 이러한 공식적인 조치에도 불구하고, 두 지지자 그룹 사이에 폭력이 발생했고, 보니파시오는 장관의 경찰에 체포되어 장관의 요원 감시 아래 성벽 밖의 숙소로 이송되었다.[2]
그러나 보니파시오의 지지자들은 이 문제를 그냥 넘어가게 두지 않고 율랄리우스의 선출에 있어서의 부정행위를 주장하며 황제 호노리우스에게 탄원서를 보냈다. 이에 황제는 이전 명령을 중단하고 2월 8일 자신과 이탈리아 주교들에게 재판을 받도록 양측을 소환했다. 이 심리는 6월 13일 스폴레토에서 열릴 예정인 시노드로 결정을 연기했지만 보니파시오와 율랄리우스 모두 로마에서 떠날 것을 명령했다. 부활절이 다가오면서, 외부인인 스폴레토의 주교에게 이 중요한 종교적인 날의 의식을 로마에서 거행해달라고 요청했다.[3]
황후 갈라 플라치디아와 그녀의 남편 콘스탄티우스 3세는 먼저 선출된 율랄리우스를 지지했다. 스튜어트 오스트는 당시의 교황 선거가 "여전히 상당히 불확실했고 양측 모두 적절한 선거와 서품을 주장할 수 있었다"라고 언급했다. 율랄리우스가 그 자리에 확정될 운명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호노리우스의 명령을 거역하고 3월 18일 로마에 입성하여 (그 해 부활절은 3월 30일이었다) 당국의 지지를 잃었다.[3]
심마쿠스는 자신의 경찰을 보내 율랄리우스가 자리를 잡았던 라테란을 점거하게 하고 그를 로마 성벽 밖의 집으로 내쫓았다. 스폴레토의 아킬레우스 주교가 라테란에서 미사를 집전했다. 스폴레토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공의회는 취소되었고, 419년 4월 3일, 황제 호노리우스는 보니파시오를 정당한 교황으로 인정했다.[4]
3. 2. 황제 호노리우스의 개입
교황 조시무스의 장례가 산 로렌초 푸오리 레 무라에서 거행된 날, 율랄리우스 지지자들이 라테란을 점거했다. 한편, 교회의 사제 대다수는 이전에 교황 인노첸시오 1세의 고문이었던 보니파시오를 선출했고, 그는 418년 12월 29일 성 마르첼루스 성당에서 서품을 받았다.[2]
로마 시의 장관 아우렐리우스 아니키우스 심마쿠스는 양측에 평화를 유지하라고 경고하고, 먼저 적절한 절차에 따라 선출된 율랄리우스가 옳다고 황제 호노리우스에게 편지를 썼다. 황제는 419년 1월 3일에 답변하여 율랄리우스를 로마의 정당한 주교로 인정했다. 그러나 보니파시오의 지지자들은 율랄리우스의 선출에 있어서 부정행위가 있었다고 주장하며 황제 호노리우스에게 탄원서를 보냈다. 이에 황제는 이전 명령을 중단하고 2월 8일 자신과 이탈리아 주교들에게 재판을 받도록 양측을 소환했다.[3]
황후 갈라 플라치디아와 그녀의 남편 콘스탄티우스 3세는 먼저 선출된 율랄리우스를 지지했다. 율랄리우스가 그 자리에 확정될 운명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호노리우스의 명령을 거역하고 3월 18일 로마에 입성하여 당국의 지지를 잃었다.
심마쿠스는 자신의 경찰을 보내 율랄리우스가 자리를 잡았던 라테란을 점거하게 하고 그를 로마 성벽 밖의 집으로 내쫓았다. 419년 4월 3일, 황제 호노리우스는 보니파시오를 정당한 교황으로 인정했다.[4]
3. 3. 로마 귀환과 최종 승리
교황 조시무스의 장례가 산 로렌초 푸오리 레 무라에서 거행된 날, 율랄리우스 지지자들이 라테란을 점거했다. 그날 늦게 율랄리우스가 부제, 평신도, 몇몇 사제로 구성된 군중과 함께 도착하여 주교로 선출되었다. 새 교황과 그의 지지자들은 관례적으로 일요일에 정식 서품이 거행되었기 때문에 12월 29일 일요일까지 교회에 머물렀다.[2]
한편, 장례식과 율랄리우스의 선출 이후 토요일에 교회의 사제 대다수는 이전에 교황 인노첸시오 1세의 고문이었던 보니파시오를 선출했다. 그는 또한 12월 29일 캄푸스 마르티우스의 성 마르첼루스 성당에서 서품을 받았다.[2]
로마 시의 장관 아우렐리우스 아니키우스 심마쿠스는 양측에 평화를 유지하라고 경고하고, 먼저 적절한 절차에 따라 선출된 율랄리우스가 옳다고 황제 호노리우스에게 편지를 썼다. 황제는 419년 1월 3일에 답변하여 율랄리우스를 로마의 정당한 주교로 인정했다. 이러한 공식적인 조치에도 불구하고, 두 지지자 그룹 사이에 폭력이 발생했고, 보니파시오는 장관의 경찰에 체포되어 장관의 요원 감시 아래 성벽 밖의 숙소로 이송되었다.[2]
그러나 보니파시오의 지지자들은 이 문제를 그냥 넘어가게 두지 않고 율랄리우스의 선출에 있어서의 부정행위를 주장하며 황제 호노리우스에게 탄원서를 보냈다. 이에 황제는 이전 명령을 중단하고 2월 8일 자신과 이탈리아 주교들에게 재판을 받도록 양측을 소환했다. 이 심리는 6월 13일 스폴레토에서 열릴 예정인 시노드로 결정을 연기했지만 보니파시오와 율랄리우스 모두 로마에서 떠날 것을 명령했다. 부활절이 다가오면서, 외부인인 스폴레토의 주교에게 이 중요한 종교적인 날의 의식을 로마에서 거행해달라고 요청했다.[3]
황후 갈라 플라치디아와 그녀의 남편 콘스탄티우스 3세는 먼저 선출된 율랄리우스를 지지했다. 스튜어트 오스트는 당시의 교황 선거가 "여전히 상당히 불확실했고 양측 모두 적절한 선거와 서품을 주장할 수 있었다"라고 언급했다. 율랄리우스가 그 자리에 확정될 운명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호노리우스의 명령을 거역하고 3월 18일 로마에 입성하여 (그 해 부활절은 3월 30일이었다) 당국의 지지를 잃었다.[3]
심마쿠스는 자신의 경찰을 보내 율랄리우스가 자리를 잡았던 라테란을 점거하게 하고 그를 로마 성벽 밖의 집으로 내쫓았다. 스폴레토의 아킬레우스 주교가 라테란에서 미사를 집전했다. 스폴레토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공의회는 취소되었고, 419년 4월 3일, 황제 호노리우스는 보니파시오를 정당한 교황으로 인정했다.[4]
4. 교황 재임 기간의 업적
보니파시오 1세는 교회 행정 개혁, 펠라기우스주의와의 투쟁, 동방 교회와의 관계 개선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 그는 세족 목요일에 ''영광송''을 부르도록 명령하고, 교회의 여러 규율을 정비했다.[1] 아우구스티누스를 지지하고 테오도시우스 2세를 설득하여 일리리쿰을 서방 관할권으로 반환하도록 하는 등 성좌의 권리를 옹호했다.[5]
보니파시오 1세는 422년 9월 4일에 로마에서 사망했다.[6]
4. 1. 교회 행정 개혁
보니파시오 1세는 세족 목요일에 ''영광송''을 부르도록 명령하고, 교회의 여러 규율을 정비했다. 그는 전임자가 시행했던 교회 행정에 관한 일부 정책을 뒤집었다. 아를의 주교인 파트로클루스에게 다른 갈리아 관구에 대한 관할권을 부여하는 대리권을 축소하고, 각 지방의 수석 주교들에게 수도 대주교의 권한을 회복시켰다. 파트로클루스가 다른 사람을 임명하려 하자, 공석이 된 로데브 교구의 주교를 선택하는 데 있어 나르본의 대주교 힐라리오를 지지했다. 또한 발렌스의 주교 막시무스가 수석 주교가 아닌 갈리아 주교들의 시노드에 의해 그의 혐의에 대해 재판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그들의 결정을 지지하겠다고 약속했다.[1]펠라기우스주의에 맞서 싸우는 아우구스티누스를 지지하며, 아우구스티누스를 비방하는 펠라기우스주의자들의 편지를 그에게 전달했다. 이러한 배려를 인정하여 아우구스티누스는 ''Contra duas Epistolas Pelagianoruin Libri quatuor''에 담긴 자신의 반박문을 보니파시오 1세에게 헌정했다.[1] 그는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를 설득하여 일리리쿰을 서방 관할권으로 반환하도록 했으며, 성좌의 권리를 옹호했다.[5]
4. 2. 펠라기우스주의와의 투쟁
보니파시오는 펠라기우스주의에 맞서 싸운 아우구스티누스를 지지했으며, 아우구스티누스를 비방하는 펠라기우스주의자들의 편지를 그에게 전달했다. 이를 통해 아우구스티누스는 ''Contra duas Epistolas Pelagianoruin Libri quatuor''에 담긴 자신의 반박문을 보니파시오에게 헌정했다.[1]4. 3. 동방 교회와의 관계
보니파시오는 세족 목요일에 영광송을 부르도록 명령하고, 교회의 여러 규율을 정비했다. 그는 아를의 주교인 파트로클루스에게 부여했던 다른 갈리아 관구에 대한 대리권을 축소하고, 각 지방의 수석 주교들에게 수도 대주교의 권한을 회복시켰다. 파트로클루스가 다른 사람을 임명하려 하자, 보니파시오는 공석이 된 로데브 교구의 주교를 선택하는 데 있어 나르본의 대주교 힐라리오를 지지했다. 또한 발렌스의 주교 막시무스가 수석 주교가 아닌 갈리아 주교들의 시노드에서 그의 혐의에 대해 재판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그들의 결정을 지지하겠다고 약속했다.[1]보니파시오는 펠라기우스주의에 맞서 싸우는 아우구스티누스를 지지하며, 아우구스티누스를 비방하는 펠라기우스주의자들의 편지를 그에게 전달했다. 이러한 배려에 대한 답례로 아우구스티누스는 ''Contra duas Epistolas Pelagianoruin Libri quatuor''에 담긴 자신의 반박문을 보니파시오에게 헌정했다.[1] 그는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를 설득하여 일리리쿰을 서방 관할권으로 반환하도록 했으며, 성좌의 권리를 옹호했다.[5]
참조
[1]
간행물
Pope St. Boniface I
http://www.newadvent[...]
2017-09-15
[2]
서적
Galla Placidia Augusta: A biographical essay
University Press
1968
[3]
서적
Galla Placidia Augusta
[4]
서적
Galla Placidia Augusta
[5]
웹사이트
Butler, Alban", Lives of the Fathers, Martyrs, and Principal Saints
https://catholicsain[...]
2018-08-06
[6]
웹사이트
St. Boniface I', Archdiocese of Baltimore
https://www.archbalt[...]
[7]
서적
Galla Placidia Augusta: A biographical essay
University Press
1968
[8]
서적
Galla Placidia Augusta
[9]
서적
Galla Placidia August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